본문 바로가기
도민추천 제주여행

의외로 힙한 사색의 공간 <제주돌문화공원> 제주 동쪽 가볼만한 곳

by mignon 미뇽 2022. 5. 4.
반응형

제주에 살고 있다 보니 제주도 여행에서 가볼 만한 곳이 어딘지 묻는 질문을 많이 받곤 하는데요. 그럴 때마다 주저 없이 추천하는 곳이 제주돌문화공원입니다. 사실 돌문화공원은 이름에서 느껴지는 고루한 이미지가 있죠. 어르신들이나 좋아할 뻔한 테마공원일 거라는 느낌이 있는데요. 막상 가보면 의외로 힙하고 예쁜 포토존이 많고, 사유와 사색을 위한 걷기 장소로 강추하는 곳입니다. 제주의 '돌'이라는 테마를 지루하지 않게 풀어내며, 제주의 자연환경과 조화롭게 어우러지는 제주돌문화공원만의 특별한 매력을 지금부터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돌문화공원의 가장 큰 매력은 '여백'에서 오는 웅장함과 편안함입니다. 고층 건물이나 인공적인 조형물을 빽빽하게 세운 것이 아니라 대지에 덩그러니 놓인 자연 그대로의 돌 그 자체를 감상할 수 있게 전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돌이 주인공이지만 프레임의 완성은 하늘과 구름, 풀과 나무, 오름의 모습에 따라 달라지거든요. 그래서 두 번, 세 번 가더라도 갈 적마다 다른 감흥을 받고 오게 되는 곳이에요.

사시사철 계절에 상관없이 언제 찾아도 좋은 곳이지만 이 등나무꽃을 본 이후로는 매년 4월 말이나 5월 초가 되면 돌문화공원이 생각납니다. 연보랏빛의 이 어여쁜 등나무꽃은 제1코스 제주돌박물관 쪽으로 가면 볼 수 있는데요. 신비한 느낌을 주는 포토스폿으로 입소문을 탔는지 올해는 SNS에 사진이 제법 올라오더라고요. 새롭게 인기를 끌고 있는 돌문화공원의 등나무꽃 포토스폿이 궁금하다면 꽃이 지기 전에 서둘러 찾아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돌문화공원의 가장 핫한 인기 장소는 뭐니 뭐니 해도 바로 이 하늘연못입니다. 하늘연못은 제주를 창조한 설문대 할망의 신화 속에 나오는 '죽솥'과 '물장오리'라는 연못을 상징하는 공간인데요. 찰랑찰랑 물이 채워진 동그란 수상무대의 형태로 연못 한가운데까지 걸어 들어갈 수 있게끔 만들어졌습니다. 작년까지는 신발을 벗고 맨발로 걸어 들어가야 했는데 올해는 센스 있게 장화가 준비되어 있더라고요. 하늘연못에서 맞은편에 보이는 바농오름을 배경으로 찍는 사진이 정말 멋집니다.

반응형

돌문화공원에 가면 빼놓지 않고 꼭 보고 와야 하는 것이 바로 이 돌하르방이에요. 돌하르방은 제주도를 상징하는 조형물로 유명하지만 진짜 원조 돌하르방은 단 48기밖에 없는데요. 그마저도 1기가 분실되어 47기의 돌하르방만이 남아 있습니다. 사진에 보이는 돌하르방은 제주도 민속자료 제2-21호로 47기 중에 하나인 원조 돌하르방입니다. 보통 관람객들은 흔하디 흔한 돌하르방이라고 생각하고 슥하고 지나치고는 하는데 조금 더 애정을 갖고 오래 봐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돌하르방에게 소원을 빌 거라면 기왕이면 가짜가 아닌 진짜 돌하르방에게 빌면 좋겠죠?

제주돌박물관과 어머니의 방은 부모님 연배 어른들에게 가장 큰 호응을 얻었던 곳이에요. 어르신들은 수석을 참 좋아하시는데요. 제주돌박물관에서는 석질과 형태가 뛰어난 다양한 수석을 관람할 수 있습니다. 어머니의 방에서 볼 수 있는 모자상은 어머니가 아이를 안고 있는 모습으로 기묘함을 넘어 감동을 주는 모습의 용암석인데요. 어둡고 조용한 굴 안에서 그림자에 집중할 수 있어 감동이 더 크게 와닿는 곳입니다.

그밖에 제주 전통 초가마을을 재현하여 옛 제주사람들의 삶을 엿볼 수 있는 돌한마을 코스도 있습니다. 제1코스부터 제3코스까지 모두 다 돌아보려면 두 시간에서 족히 세 시간까지도 걸리는 대장정 코스인데요. 노약자나 좀 더 빠르게 돌문화공원을 둘러보고 싶은 분들은 매표소에서 전기셔틀카를 예약하시면 됩니다. (요금 5000원 별도)

제주돌문화공원이라는 이름만 듣고 뻔한 곳일 거라고 생각하신 분들도 있을 거 같은데요. 저 역시도 그랬거든요. 하지만 실제로 가본 돌문화공원은 예상을 뛰어넘는 아름다움과 만족감을 주는 곳이었어요. 제주도 여행에서 꼭 가보아야 할 여행코스로 제주돌문화공원을 자신 있게 추천합니다.


제주돌문화공원 :
제주시 조천읍 남조로 2023 교래자연휴양림
매일 9:00-18:00 (매월 첫째주 월요일 휴무)
입장료 (어른 5,000원 청소년 3,500원)


반응형

댓글